• 검색

fn스트리트 바이든 표 ‘원자재 동맹’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백악관 다이닝룸에서 반도체 등의 미국 공급망에 관한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미국 바이든 신행정부가 원자재 동맹 구축에 나선다. 한·일, 호주·대만 등과 연계해 반도체·배터리·희토류·의료품 등 핵심 소재·부품 등에 대해 중국을 배제하고 공급망을 구축하는 방안이다. 일종의 중국 왕따 전략이다. 외신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이 같은 국가전략을 마련하는 대통령령에 서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후 정치적으로는 가치 동맹을 기치로 내걸었다. 지난 19일 뮌헨안보회의 화상연설에서는 "중·러에 맞서 민주주의 모델을 지키자"고 역설했다. 인권·자유·다원주의 등을 공유하는 나라들끼리 결속하자는 것이다. 쿼드(미국·일본·호주·인도 안보협의체)는 베이스캠프 격이다. 여기에 이번에 원자재 동맹 구상을 보탬으로써 바이든 표 투트랙 대중 포위전략의 밑그림이 드러난 형국이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도 대중 통상압박에 나섰었다. 화웨이의 5G 통신장비는 상징적 타깃이었다. 바이든 정부는 이보다 더 조직적으로 대중 견제에 나설 참이다. 반도체와 배터리, 희토류 등 핵심소재 공급망 구축을 통해서다. 반도체는 대만·한국·일본과 손잡고, 희토류는 호주와 협력하는 등 우방과 스크럼을 짜려는 구상이다. 각종 전략물자 원료인 희토류 금수 등 중국의 역공 수순까지 내다본 포석이다.

그러잖아도 미국으로부터 쿼드 플러스 참여 요구를 받고 있는 정부로선 숙제가 더 는 셈이다. 미국 주도 원자재 동맹이 결성되면 배터리의 경우 당장 우리에게 블루오션이 열릴 수도 있다. 그간 CATL 등 중국 배터리 업체의 미국시장 점유율도 만만찮았기 때문이다. 반도체의 경우 단기적으론 호재지만, 대중 수출 비중도 적잖아 장기적 전망은 불투명하다. 중장기적으로 우리에게 양날의 칼일 수도 있다는 얘기다. 문재인정부가 조만간 바이든 정부가 원자재 동맹에 참여를 공식 요청해 올 경우를 상정, 미리 장단기 손익계산을 따져보는 등 구체적인 대응 시나리오를 짜야 할 이유다.

kby777@fnnews.com 구본영 논설위원

[ 구본영 기자]

허블검색
허블검색